본문 바로가기
  • 우리의 아름다운 말과 글을 시각장애인 친구들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완)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1 안병무

by 니들이게맛을아냐 2021. 11. 20.
728x90

 

 

 

 

[비석 내용]

 

보라! 나라 잃은 사람은 자유가 없음을!

 

 

 

[인물 설명]

 

호는 해암(海菴)이며, 평남 안주읍 신의리에서 태어났다. 1930년 상해 유학을 떠나 복단(復旦)대학에 재학 중 1932년 상해 사변이 발발하자 천도교 청우당원(靑友黨員)으로 복단대학 학생의용군에 가담하여 항일운동을 하였으며, 중국19로군(中國十九路軍)에 편입하여 대일전에 참가하였다. 한편 상해 한인학우회에 가입하여 재무위원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1937년부터는 남경(南京)에서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의 청년단에 가입하여 역보(力報항전일보(抗戰日報건군반월보(建軍半月報) 등의 잡지에 독립군의 활동이나 독립운동, 또는 일제의 식민통치를 비판하는 등의 원고를 기고하였다. 특히 19409월에는 일본 제국주의 철제 하의 조선(日本帝國主義鐵蹄下的朝鮮) 이라는 책자를 발간하여 한국 내의 일본 폭정을 폭로하는 등의 언론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9월부터 광서성(廣西省)에 있는 중국 중앙군관학교 제 6분교에서 일본어를 교수하였는데 그 곳에서 다시 중국 제 3전구에 가입하여 대적선전을 담당하였다. 19443월부터는 임시의정원 비서에 임명되었으며, 동년 6월에는 임시정부 선전부 비서 및 편집위원을 겸하여 중경(重慶)에서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77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안병무 비석 점역본.hwp
0.01MB
안병무 설명 점역본.hwp
0.01MB

 

 

 

! 해당 내용은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점자번역본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