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의 아름다운 말과 글을 시각장애인 친구들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시어록비 점역107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5 나창헌 [비석 내용] 료범(了凡) 나창헌(羅昌憲) 의혈(義血)이 가슴에 가득 찬 기력이 강장한 청년 동지들이여 오라. 전진하라. 우리들은 호무선궁(好武善弓) 하였던 강용한 민족이다. 검두에 선혈을 묻히고 신비의 묘경을 개척한 역사적 유훈을 체험하여 오직 흑철(黑鐵)과 적혈(赤血)로써 성국(盛國)의 기업을 대정(大定)하라. 1926년 2월 12일 병인의용대 창립선언서에서 [인물 설명] 료범(了凡) 나창헌 선생은 1896년 평북 희천에서 출생했다. 1919년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재학 중 학생층의 3·1 운동을 주도했고, 1920년 이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1924년 상해교민단 학무위원·인성학교 교사·흥사단 단원으로 활동했고, 1925년 임시의정원에서 이승만심판위원장을 맡아 탄핵을 주도했다.. 2021. 12. 6.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4-2 김규식 [비석 내용] 전 세계의 동정만 가지고는 독립을 얻을 줄로 생각지 맙시다. 우리의 독립은 우리의 손으로만이 되옵니다. 우리의 독립은 우리의 맘으로만이 되옵니다. 우리의 독립은 우리가 단결하여 싸우되 마지막 핏방울이 떨어질 때까지 싸워야 되옵니다. 파리강화회의 직후 동포 앞에서 나의 경애하는 동포여! 분발하여 오직 우리에게 남아있는 우리의 나중의 핏방울이 떨어질 때까지, 우리의 나중 한 사람이 거꾸러질 때까지, 우리는 우리의 자유와 우리의 독립을 위하여 쉬이지 말고 낙심도 말고 혈전을 계속합시다. 파리 체재중인 김규식 박사가 미국 대한국민회에 보낸 편지 중에서 『신한민보(新韓民報)』 1919년 10월 18일 [인물 설명] 우사(尤史) 김규식 선생은 1881년 1월 아버지 김지성(金智性)과 어머니 경주 이씨.. 2021. 12. 5.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4-1 여운형 [비석 내용] 조선의 독립운동은 세계의 대세요, 신의 뜻이요, 한민족의 각성이다...... 우리가 건설하려는 국가는 인민이 주인이 되어 인민을 다스리는 국가일 것이다. 이 민주공화국은 대한민족의 절대적 요구요, 세계 대세의 요구다. 1919년 11월 17일 도쿄제국호텔 연설문 중 제군은 비록 가슴에는 일장기를 달고 가지만 등에는 한반도를 짊어지고 간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 출전하는 손기정 등 선수들에게 준 조선체육의 아버지 여운형의 격려사 [인물 설명] 몽양(夢陽) 여운형 선생은 1885년 4월 경기도 양평(楊平)에서 출생하여 배재학당, 흥화학교 등에서 신학문을 익혔으며, 1908년에는 기호학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고, 1910년 강릉의 초당의숙에서 민족교육에 매진하였다. 1.. 2021. 12. 4.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3 조병세 [비석 내용] 순국열사 충정공 조병세 선생 어록비 우리 전국 동포는 나의 죽음을 슬퍼하지 말고 각자 분발하여 더욱더 충의를 다하여 국가를 보전하며 우리 독립의 기초를 굳게 하여 잊지 못할 치욕을 씻어 줄 수만 있다면 내 비록 구천 지하에서라도 춤추고 기뻐할 터이니 각각 힘쓰고 또 힘써주기 바라오. 전국 인민에게 고하는 유촉(遺囑) 중에서 [인물 설명] 일제 강압에 의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고종과 각국 공사관, 그리고 국민에게 유서를 남기고 자결 순국한 독립운동가이다. 선생은 1827년 6월 2일 홍천 현감을 역임한 조유순과 대구 서씨를 양친으로 서울 회현동에서 출생하였으며, 출사 전까지 경기도 가평에서 지냈다.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치현(穉顯), 호는 산재(山齋)이다. 1859년 증광문.. 2021. 12. 3.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2 박기성 [비석 내용] 우리가 일치단결하여 강건한 독립정신으로 무장한다면 일본을 물리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광복군 박기성 장군 어록 [인물 설명] 국내와 일본, 그리고 중국 등지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평생 확고한 독립정신을 갖고 항일무장투쟁에 앞장선 독립운동가이다. 선생은 1905년 6월 1일 충북 진천 문백면 봉죽리에서 부친 박문용과 모친 연철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19년 4월 10일 도안면 광덕리에서 3·1 운동이 일어나자 어린 나이에 참가할 정도로 항일정신이 특출하였다. 19세 때인 1924년 신학문을 배워 실력을 키우기 위해 외삼촌 연동희를 찾아가 일본 갈 여비 40원을 얻어 일본으로 유학 가 일본 도쿄의 개성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29년까지 일본에 머물면서 자유청년연맹과 흑우연맹을 통해 항일운.. 2021. 12. 2.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1 연병호 [비석 내용] 동포여! 우리는 참담한 멸망을 면(免)하야 자생(自生)을 도(圖)하려 하나니, 전(戰)하면 생(生)하고, 부전(不戰)하면 사(死)할지라. 일거(一擧)에 적을 파쇄(破碎)하야 무궁화 삼천리 조국의 국권을 광복하고 백두산 상 태극기 하에 명년 금일을 기념하기로 신전(神前)에 맹서합시다. 원명(圓明) 연병호(延秉昊) 1920년 3월 1일 독립기념일에 하신 말씀 중에서 [인물 설명] 연병호(延秉昊 1894.11.22.~1963.1.26) 선생은 충북 증평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선생은 3·1 운동 직후 상해에서 설립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하고 독립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1919년 6월 서울에서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이 일로 선생은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 2021. 12. 1.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0 권준 [비석 내용] 일본과 항전한 것은 그 목적이 국가주권을 획득하며 영토의 보전과 민족의 독립 및 자유평등을 쟁취하는 데 있다. 권준 “전략과 전술” 1948년 [인물 설명] 경북 상주(尙州) 사람이다. 1917년 광복회(光復會) 조직에 참여하여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였다. 1921년 북경(北京)에서 김원봉(金元鳳)과 같이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하고 군자금 조달·폭탄제조 등의 임무를 맡아 종로서·총독부·동척(東拓) 등의 폭탄 투척과 동경 이중교(二重橋) 투척 등을 적극 지원하였다. 1926년에는 황포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수료하고 북벌전(北伐戰)에 참전하여 활약하기도 하였다. 같은 해 한구(漢口)에서 개최된 한국·중국·인도·몽고·안남(安南)·대만인 등으로 조직된 동.. 2021. 11. 30.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