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수 경찰 경감
석상익 경찰 경위
① 김해수 경감·석상익 경위는 북한군의 수중에 들어간 영월지역 탈환을 위해 결사대를 편성하여 영월 녹전리 재진입 도중 북한군과 조우하자 치열한 교전을 벌여 적 73명을 사살하고 전사함.
② 1950년 7월 1일 적의 대대적 공세에 강원도 경찰은 대부분 남하하였지만, 강원도 비상경비 사령부(사령관 윤명운 경무관)는 10만킬로와트 규모의 화력발전소가 있는 영월을 방어하기로 결심하고, 전경 제8대대와 홍천·인제의 병력 100여 명으로 영월 방어부대를 편성, 김인호 총경(강원도 경찰학교장)을 부대장으로 임명하였다. 영월부대는 당일 영월에 도착하여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③ 영월지역에서는 2일부터 수차례의 공방전이 계속되었으며, 영월지구 전투부대의 투혼으로 일시 영월 점유에 성공하였으나 적의 반격으로 영월을 포기하고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영월 탈환의 집념을 버리지 않고, 7일 아침, 상동지역 전경 제8대대 제1중대장 김해수 경감을 대장으로 47명의 결사대를 편성하여 영월 재공격을 준비하였다.
④ 김해수 경감은 결사대로는 대병력의 북한군과 맞서 싸워 승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사대원 전원이 무사하기 어렵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었지만, 남하하는 북한군을 지연시키고 영월지역이 화력발전소 등이 소재하는 등 중요성이 높은 지역임을 고려한 사령관의 명령에 복종하였다. 8일 14시경 결사대가 녹전리의 송현고개를 막 넘어섰을 무렵 예상치 못하게 북한군과 조우하자 선제공격으로 북한군 일진을 격퇴시키고, 계속 추격하여 백병전까지 벌였다.
⑤ 그러나 북한군의 대병력이 아군을 포위하여 공격하므로 이에 대항하여 목숨을 아끼지 않고 전투를 진두지휘하던 김해수 경감이 적의 박격포탄에 장렬하게 전사하였고, 이어 석상익 경위가 대신하여 결사대를 지휘하며 용전하였으나, 역부족으로 석상익 경위마저 전사하여 결국 전투는 24명 전사, 7명 부상, 적 73명 사살의 기록을 남기고 종결되었다.
⑥ 이후 아쉽게도 영월 회복을 위한 전투는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김해수 경감과 석상익 경위를 비롯한 강원도 전투경찰의 활약이 적의 진공을 지연시키는 데는 크게 기여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전투가 벌어졌던 영월군 녹전리에는 이 분들을 기리는 현충시설 호국경찰전적비가 세워져 있으며, 매년 추념행사가 열리고 있다.
김해수 대한민국 경찰 경감
1924년 9월 6일~1950년 7월 8일
석상익 대한민국 경찰 경위
1917년 9월 6일~1950년 7월 8일
(해당 사진은 호국경찰전적비 전경임)
* 해당 내용은 국가보훈처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점자번역본은 아래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이달의 전쟁영웅 > 2018년(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영웅] 2018년 9월 박정모 (0) | 2022.12.14 |
---|---|
[전쟁영웅] 2018년 8월 허봉익 (0) | 2022.12.14 |
[전쟁영웅] 2018년 6월 임부택 (0) | 2022.12.14 |
[전쟁영웅] 2018년 5월 김현숙 (0) | 2022.12.14 |
[전쟁영웅] 2018년 4월 타흐신야즈즈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