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석 내용]
규암 김약연 목사 어록
우리들은 철선에 묶인 것과 같은 수족을 어찌할 수 없는 경우에 처해 있다. 근일 일본이 한국 내외에 경찰망을 풀어 호호 촌촌에 병사를 파수시켜 완전히 호흡도 할 수 없는 처지이다. 여러분은 이 넓은 창천하에 어찌 일언의 항쟁도 없어서 되겠는가. 세계 민족이 자유를 고창할 때 우리 한국만이 어찌 이처럼 악마가 유린하는 것을 보고만 있겠는가.
1919년 2월 6일 명동중학교장 김약연
「전로한족중앙회」에 제출한 청원서
[인물 설명]
호는 규암(圭巖)이며, 함경북도 종성에서 태어났다. 1907년에 간도 화룡현(和龍縣) 지신사 명동촌(明東村)에 연변(延邊) 교민회를 조직하여 회장으로서 활동하였으며, 1909년에는 간도 간민회(墾民會)를 이동춘 등과 함께 조직하여 역시 회장으로 활약하였다. 1908년에는 화룡현 명동촌에 명동서숙(明東書塾)을 설립하여 숙감(塾監)을 역임하였으며 1910년에는 명동중학교로 발전시켜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청년들의 애국정신을 함양하였다. 1912년에 이동휘(李東輝)가 명동으로 망명해오자 연변교민회를 발전적으로 해체,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북간도국민회(北間島國民會)를 창설, 초대 회장에 취임하여 독립운동의 선봉에 나섰다. 1918년에는 여준(呂準)·정안립(鄭安立)·박성태(朴性泰)·박찬익(朴贊翊)·정신(鄭信) 등 38인과 함께 3·1 독립선언서보다 빠른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를 발표하였다. 1919년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통일체로서 대한독립기성총회(大韓獨立期成總會)를 조직하여 의사(議事)부원으로 김병흡(金秉洽)·고용환(高龍煥)·강구우(姜九禹) 등과 함께 활약하였다. 동년 3월 13일에는 간도 용정(龍井)에서 개최한 대한독립선언대회를 정재부(鄭在負) 등과 주도하였으며 동년 3월 또한 노령(露領) 니꼴리스크에서 개최한 대한독립선언과 파리강화회의에 대비한 전로한족중앙총회(全露韓族中央總會)에 북간도 대표로서 참석하여 일제에 대한 강력한 항의문을 발표하였다. 1923년 2월 26일에는 24처 지방대표가 모인 가운데 전간도주민대회를 개최하여 간도에 거주하는 30만 한국인의 재산과 생명보호를 위하여 자치권(自治權)을 확보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이러한 활동내용들을 탐탁치 않게 여긴 일제는 그를 한국독립운동의 ‘수령자(首領者)’로 또는 100만 동포의 대표자로 부르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77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해당 내용은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점자번역본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7 이중언 (0) | 2021.11.26 |
---|---|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6 안재홍 (0) | 2021.11.25 |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4 박시창 (0) | 2021.11.23 |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3 박인호 (0) | 2021.11.22 |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2 이종암 (0) | 2021.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