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의 아름다운 말과 글을 시각장애인 친구들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완)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2 윤봉길

by 니들이게맛을아냐 2021. 8. 21.
728x90

 

 

 

 

[비석 내용]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매헌(梅軒) 윤봉길(尹奉吉)

 

사나이 뜻을 세워 집을 나가면 공을 이루지 않고서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으리.

 

일천구백삼십년 삼월 윤봉길

 

 

 

[인물 설명]

 

아호는 매헌(梅軒)이며,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났다. 3·1 운동이 일어나자 다니던 보통학교를 자퇴하고 한학을 배우며 뜻을 세웠다. 1926년 농촌 계몽 운동에 뛰어들 것을 결심하고 사랑채에 야학당을 차리고, 문맹타파를 통한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이듬해 마을 야학 교재로 농민독본을 저술했다. 1928년 농촌 부흥 운동의 본산격인 부흥원 건물을 세웠고, 이듬해 지방 농민을 모아 월진회를 조직했으며, 체력연마를 위해 수암체육회를 만들어 운동을 장려했다. 광주학생운동에 자극을 받고 직접 혁명 투쟁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19303월 집을 떠나 만주를 거쳐 이듬해 상해에 도착하였다. 낮에는 공원으로 일하고 밤에는 어학 수업을 하는 생활을 하던 중 김구를 만나 한인애국단에 입단하고, 19324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열린 천장절 및 상해사변 전승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의 상해 파견군 사령관 백천의측(白川義則) 대장과 일본 거류민 단장 하단정차(河端貞次) 등을 폭살하고, 3함대 사령관 야촌길삼랑(野村吉三郞)과 제9사단장 식전겸길(植田謙吉) 등에게 중상을 입혀 민족의 자주 독립 정신을 세계에 떨쳤다. 그는 거사 직후 현장에서 붙잡혀 사형을 선고 받고 24세를 일기로 순국했다.

 

 

 

윤봉길 비석 점역본.hwp
0.01MB
윤봉길 설명 점역본.hwp
0.01MB

 

 

 

! 해당 내용은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점자번역본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