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의 아름다운 말과 글을 시각장애인 친구들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완)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101 연병호

by 니들이게맛을아냐 2021. 12. 1.
728x90

 

 

 

 

[비석 내용]

 

동포여! 우리는 참담한 멸망을 면()하야 자생(自生)을 도()하려 하나니, ()하면 생()하고, 부전(不戰)하면 사()할지라. 일거(一擧)에 적을 파쇄(破碎)하야 무궁화 삼천리 조국의 국권을 광복하고 백두산 상 태극기 하에 명년 금일을 기념하기로 신전(神前)에 맹서합시다.

 

원명(圓明) 연병호(延秉昊)

192031일 독립기념일에 하신 말씀 중에서

 

 

 

[인물 설명]

 

연병호(延秉昊 1894.11.22.~1963.1.26) 선생은 충북 증평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선생은 3·1 운동 직후 상해에서 설립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하고 독립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19196월 서울에서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이 일로 선생은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형무소에 3년간 감옥생활을 하였다. 이후 선생은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을 역임하였고 윤기섭·홍진·김구 등과 함께 한국혁명당(1929신한독립당(1933한국국민당(1935) 등을 결성하였다. 독립공론의 주간으로 활동하며 대내외에서 임시정부를 옹호하고 임정 중심의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런 활동을 이유로 선생은 상해에서 일본 경찰에 피체돼 치안유지법 위반 명목으로 6년형을 언도받고 공주감옥으로 수감생활을 하였다. 해방 이후 선생은 제 1·2대 국회의원(헌법기초위원)을 지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는 자주독립에 이바지한 공로를 새겨 선생에게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연병호 비석 점역본.hwp
0.01MB
연병호 설명 점역본.hwp
0.01MB

 

 

 

! 해당 내용은 독립기념관 시어록비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점자번역본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