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 어뢰정 편대
① 대한민국 해군 어뢰정 편대는 6·25전쟁 당시 동·서해안과 그 주변 도서의 적 진출 사전 봉쇄, 황해도 옹진반도 일대의 도서에 대한 공산군의 침공 계획을 좌절시키고 강원도 원산 일대를 수호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② 한반도 해안은 수심이 얕고 섬이 많아 대한민국 해군은 작전이 편리한 무게가 적고 속력이 빠르며 화력도 강한 함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1952년 1월 일본의 미 해군 기지에서 어뢰정(PT) 4척을 인수하여 2월 어뢰정-23(PT-23, 갈매기), 어뢰정-25(PT-25, 기러기), 어뢰정-26(PT-26, 올빼미), 어뢰정-27(PT-27, 제비)로 명명하여 PT편대를 창설했다.
③ 길이 24미터, 무게 50톤, 목재로 건조된 어뢰정은 최고 시속 92.6킬로미터(50노트)의 속력을 낼 수 있었고, 주 무장으로 127밀리미터(5인치) 로켓포 16기를 탑재했다. 또한 야간 작전 시 목표물 식별이 필요할 경우 조명탄 발사를 위해 81밀리미터(3.2인치) 박격포 1문을 탑재했다.
④ 특히, 로켓포 유효사거리가 1,829미터(2,000야드)에 불과해 야간에 적을 타격하기 위해서 적 해안 가까이 최대한 은밀하게 접근해야만 했기 때문에 어뢰정 편대의 작전은 매우 어렵고 위험했다.
⑤ 어뢰정-23·26 편대는 1952년 4월 19일부터 서해안에서, 어뢰정-25·27 편대는 1952년 5월 23일 동해안에서 주로 작전을 수행했다.
⑥ 서해안의 어뢰정 편대는 대청도에 기지를 두고 황해도 장산곶, 옹진반도, 해주 등 해안에서 활동 중인 적 함선과 해안가에 설치된 적 포대, 보급소 등을 목표로 야간에 은밀히 침투하여 적 군사시설을 파괴하는 등 혁혁한 전과를 거두었다.
⑦ 동해안의 어뢰정 편대는 여도에 기지를 두고 함경남도 호도반도, 마양도, 신포에 이르는 해안선 일대에서 적 함선을 비롯한 해안포, 보급소 등을 파괴했다. 아울러, 강원도 원산해역에서는 야간에 적 기뢰부설차단작전, 기차 파괴작전에도 참여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⑧ 이후, 어뢰정-26은 1952년 9월 18일 진해에서 수리 중 기관실 화재로 선체가 전소되었고, 어뢰정-27은 1963년 6월 30일, 어뢰정-25는 1963년 12월 31일, 어뢰정-23은 1964년 7월 1일 퇴역하였다.
1952년 2월 일본의 미 해군 기지에서 열린 대한민국 해군 어뢰정(PT, Patrol Torpedo Boat) 편대 명명식 사진
* 해당 내용은 국가보훈처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점자번역본은 아래 첨부파일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이달의 전쟁영웅 > 2023년(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영웅] 2023년 6월 홍윤조 (0) | 2023.06.01 |
---|---|
[전쟁영웅] 2023년 5월 에밀 조세프 카폰 (0) | 2023.05.04 |
[전쟁영웅] 2023년 3월 알베르토 루이즈 노보아 (0) | 2023.03.05 |
[전쟁영웅] 2023년 2월 최종성 (0) | 2023.02.03 |
[전쟁영웅] 2023년 1월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