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의 아름다운 말과 글을 시각장애인 친구들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시어록비107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9 윤세주 [비석 내용] 석정 윤세주 열사 어록 우리의 제 1차 계획은 불행히도 파괴되고 무수한 동지들이 체포되어 처벌되었지만 체포되지 않은 우리 동지들은 도처에 있으니 반드시 강도 왜적을 섬멸하고 우리의 최후 목적을 도달할 날이 있을 것이다. 1921년 의열단 제 1차 국내특공거사 사건 재판정 진술 중에서 [인물 설명] 호는 석정(石正). 경상남도 밀양군 내이동에서 출생하여, 밀양공립보통학교·사립 동화학교·서울 오성중학을 수학하였다. 1919년 밀양에서 3·1 운동 만세시위 주도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그 해 11월 길림성에서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1920년 6월 의열단의 국내기관 총공격 거사 실행 직전에 서울에서 일제에게 피체되어 경성지방법원에서 7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1927년 2월 서대문형무소에서.. 2021. 11. 29.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8 장형 [비석 내용] 범정(梵亭) 장형(張炯) 선생(先生) 어록(語錄) 독립은 남이 갖다 주는 것이 아니고 오직 우리 자신의 힘으로 쟁취해야 한다. [인물 설명] 호는 범정(梵亭)이며, 평북 용천에서 태어났다. 1909년 보성전문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접하면서, 도산 안창호(安昌浩)·의암 손병희(孫秉熙)의 반일애국독립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이후 양기탁(梁起鐸)·유동열(柳東說) 등에게 독립운동자금을 제공하였으며, 1919년 3·1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가서 이극(李極)·안창하(安昌夏)·이진산(李震山)·전덕명(全德明) 등에게도 군자금을 조달하였다 한다. 그리고 이극을 통하여 전덕원(全德元)·오동진(吳東振)·오광선(吳光鮮) 등에게도 군자금을 전달하다가 수차 투옥되었다 한다. 그 후에도 현금과 패물 등을 모집하.. 2021. 11. 27.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7 이중언 [비석 내용] 한 치 흔들림 없이 빼앗긴 내 나라 위해 오직 이 한 목숨 던지노라. 동은(東隱) 이중언 경술국치(庚戌國恥) 직후 일제에게 보낸 경고문에서 [인물 설명] 호는 동은(東隱)이며, 경상북도 안동(安東)군 예안(禮安)면 하계(下溪)리에서 태어났다. 1879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급제하고 정언(正言) 지평(持平)을 역임했다.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세상이 혼란해짐을 개탄하고 봉화(奉化)의 임당산(林唐山) 기슭에 은거하였다. 1895년 10월 일본이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만행을 자행하자 안동에서 김도현(金道鉉)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어 전방장(前防將)을 맡았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하여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고 국권을 침탈하자 통분하여 일제침략을 규탄하고 ‘.. 2021. 11. 26.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6 안재홍 [비석 내용] 민족(民族)에서 세계(世界)로 조선은 내 나라다. 나의 향토다. 생활의 근거지다. 문화 발전의 토대이다. 세계로의 발족지다. 함께 일어나 지켜야 하고 싸워야 하고 고쳐가야 하고 이를 방해하는 어떤 자들이고 부숴 치워 버려야 할 것이다. 민세 안재홍 선생의 1926년 12월 5일 조선일보 사설 중에서 [인물 설명] 호는 민세(民世)이며, 경기 평택(平澤)에서 태어났다. 1912년 일본 동경(東京)에 거주하던 한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조선유학생학우회를 조직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데 힘썼다. 1913년 1월 일본 와세다(早稻田) 대학에 재학 중 중국 상해로 건너가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였다.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령에 따라 서울에서 청년들을 규합하여 청년외교단(靑年外交團)을 조직.. 2021. 11. 25.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5 김약연 [비석 내용] 규암 김약연 목사 어록 우리들은 철선에 묶인 것과 같은 수족을 어찌할 수 없는 경우에 처해 있다. 근일 일본이 한국 내외에 경찰망을 풀어 호호 촌촌에 병사를 파수시켜 완전히 호흡도 할 수 없는 처지이다. 여러분은 이 넓은 창천하에 어찌 일언의 항쟁도 없어서 되겠는가. 세계 민족이 자유를 고창할 때 우리 한국만이 어찌 이처럼 악마가 유린하는 것을 보고만 있겠는가. 1919년 2월 6일 명동중학교장 김약연 「전로한족중앙회」에 제출한 청원서 [인물 설명] 호는 규암(圭巖)이며, 함경북도 종성에서 태어났다. 1907년에 간도 화룡현(和龍縣) 지신사 명동촌(明東村)에 연변(延邊) 교민회를 조직하여 회장으로서 활동하였으며, 1909년에는 간도 간민회(墾民會)를 이동춘 등과 함께 조직하여 역시 회장으로.. 2021. 11. 24.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4 박시창 [비석 내용] 나는 진정 조국의 파수병으로 독립된 내 나라에서 살고 싶다. 애국지사 박시창 장군 어록 [인물 설명] 경기도 시흥(始興) 사람이다. 일찍이 부친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 선생을 따라 노령(露領) 등지를 거쳐 중국 본토로 망명하였다. 1925년 남경 중앙대학(中央大學)을 중퇴하고 무창(武昌)의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무한분교(武漢分校)에 입교하였다. 1932년 상해사변이 일어나자 중국군으로 대일전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으며, 1941년에는 김홍일·최용덕과 함께 중국위륭군대학(中國威隆軍大學) 특별반에 입교하여 군사학을 연마하였다. 1943년 8월에는 광복군 총사령부에 편입되어 고급참모로 활약하였으며, 민족혁명당에 가입하여 후보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1944년 10월에는 임시정부 참.. 2021. 11. 23.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93 박인호 [비석 내용] 개같은 왜적놈을 한울님께 조화받아 일야간에 멸하고서 대보단에 맹서하고 한의 원수까지 갚아 독립달성 하겠습니다. 춘암 박인호 [인물 설명] 호는 춘암(春菴)이며, 충남 덕산군 장촌면 막동(현재 충남 예산 삽교읍 하포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당시 천도교(天道敎) 대도주(大道主)로서 3·1 독립운동의 중앙지도체 49인 중 한사람으로 활동하였다. 1883년 동학(東學)에 입도하여 1884년에는 손병희(孫秉熙)와 더불어 공주 가섭사(迦葉寺)에 들어가 동학의 제 2세 교주 최시형(崔時亨)으로부터 종교적 수행을 지도받고, 그 뒤 충청도 예산지방에서 포교활동에 전념하여 서산지방의 박희인(朴熙寅)과 더불어 쌍벽을 이루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덕의 대접주로 승천곡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시키고.. 2021. 11. 22.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